CH 14. 전역 변수의 문제점
14.1 변수의 생명 주기
- 전역 변수의 무분별한 사용은 위험
14.1.1 지역 변수의 생명 주기
-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서 생성되고 소멸함
-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는 함수가 호출되면 생성되고 함수가 종료하면 소멸함
- 지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함수의 생명 주기와 일치함
- 호이스팅은 스코프를 단위로 동작함
- 호이스팅은 변수 선언이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특징을 말함
14.1.2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
- 전역 코드는 명시적인 호출 없이 실행됨
-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됨
-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전역 객체의 생명 주기와 일치함
-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전역 객체의 생명 주기와 일치
14.2 전역 변수의 문제점
1. 암묵적 결합
- 모든 코드가 전역 변수를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는 암묵적 결합
- 변수의 유효 범위가 크면 클수록 코드의 가독성은 나빠지고 의도치 않게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위험성도 높아짐
2. 긴 생명 주기
- 전역변수는 생명 주기가 긺
- 메모리 리소스도 오랜 기간 소비함
- 전역 변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시간도 길고 기회도 많음
- var 키워드는 변수의 중복 선언을 허용하므로 생명 주기가 긴 전역 변수는 변수 이름이 중복될 가능성이 있음
- 변수 이름이 중복되면 의도치 않은 재할당이 이뤄짐
3.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
- 변수를 검색할 때, 전역 변수가 가장 마지막에 검색됨
- 전역 변수의 검색 속도가 가장 느림
4. 네임스페이스 오염
- 자바 스크립트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파일이 분리되어 있다 해도 하나의 전역 스코프를 공유한다는 것
- 다른 파일 내에서 동일한 이름으로 명명된 전역 변수나 전역 함수가 같은 스코프 내에서 존재할 경우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
14.3 전역 변수의 사용을 억제하는 방법
- 전역 변수를 반드시 사용해야 할 이유를 찾기 못한다면 지역 변수를 사용해야 함
- 변수의 스코프는 좁으면 좁을수록 좋다
14.3.1 즉시 실행 함수
- 모든 코드를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면 모든 변수는 즉시 실행 함수의 지역 변수가 됨
- 이 방법을 사용하면 전역 변수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라이브러리 등에 자주 사용됨
(fucntion() {
var foo = 10;
// ...
} ());
console.log(foo);
14.3.2 네임스페이스 객체
- 전역에 네임스페이스 역할을 담당할 객체를 생성하고 전역변수처럼 사용하고 싶은 변수를 프로퍼티로 추가하는 방법
- 네임스페이스 객체에 또 다른 네임 스페이스 객체를 프로퍼티로 추가해서 네임스페이스를 계층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
- 네임 스페이스를 분리해서 식별자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으나,
- 네임스페이스 객체 자체가 전역 변수에 할당되므로 그다지 유용해보이지는 않음
var MYAPP = {}; // 전역 네임스페이스 객체
MYAPP.name = 'Lee';
console.log(MYAPP.name);
var MYAPP = {};
MYAPP.person = {
name: 'Lee',
address: 'Seoul'
};
console.log(MYAPP.person.name);
14.3.3 모듈 패턴
- 클래스를 모방해서 관련이 있는 변수와 함수를 모아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 하나의 모듈을 만드는 방법
- 전역 변수의 억제는 물론 캡슐화까지 구현 가능
- 대부분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는 클래스를 구성하는 멤버에 대해 public, private, protected 등의 접근 제한자를 사용해 공개 범위를 한정할 수 있음
- 하지만, 자바스크립트는 접근 제한자를 제공하지 않음
- 모듈 패턴은 전역 네임스페이스의 오염을 막는 기능은 물론 한정적이기는 하지만 정보 은닉 구현을 위해 사용함
캡슐화?
: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프로퍼티와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인 메서드를 하나로 묶는 것을 말함
- 객체의 특정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감출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함 (정보 은닉)
var Counter = (function() {
var num = 0;
return {
increase() {
return ++num;
},
decrease() {
return --num;
}
};
}());
// private 변수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
console.log(Counter.num); // undefined
console.log(Counter.increse()); // 1
console.log(Counter.increse()); // 2
console.log(Counter.decrese()); // 1
console.log(Counter.decrese()); // 0
14.3.4 ES6 모듈
- ES6 모듈은 파일 자체의 독자적인 모듈 스코프를 제공함
- 모듈 내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더는 전역 변수가 아니며 window 객체의 프로퍼티도 아님
CH 15. let, const 키워드와 블록 레벨 스코프
15.1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의 문제점
15.1.1 변수 중복 선언 허용
-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중복 선언이 가능
var x = 1;
var y = 1;
var x = 100;
var y; // 초기화 문이 없는 변수 선언문은 무시됨
console.log(x); // 100
console.log(y); // 1
15.1.2 함수 레벨 스코프
-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함
- 함수 외부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코드 블록 내에서 선언해도 모두 전역 변수가 됨
- for 문의 변수 선언문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도 전역 변수가 됨
var x = 1;
if (true) {
var x = 10;
}
console.log(x); // 10
var i = 10;
for (var i = 0; i < 5; i++) {
console.log(i);
}
console.log(i); // 5
15.1.3 변수 호이스팅
-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변수 선언문이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함
- 즉,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선언문 이전에 참조할 수 있음
- 단, 할당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하면 언제나 undefined를 반환함
- 변수 선언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하는 것은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에러를 발생시키지는 않지만,
프로그램의 흐름상 맞지 않을 뿐더러 가독성을 떨어뜨리고 오류를 발생시킬 여지를 남김
console.log(foo);
foo = 123;
console.log(foo); // 123
var foo;
15.2 let 키워드
15.2.1 변수 중복 선언 금지
- let 키워드로 이름이 같은 변수를 중복 선언하면 문법 에러가 발생함
15.2.2 블록 레벨 스코프
-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모든 코드 블록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하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따름
- 함수도 코드블록이므로 스코프를 만듦
- 이때 함수 내의 코드 블록은 함수 레벨 스코프에 중첩됨
15.2.3 변수 호이스팅
-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함
-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단계와 초기화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됨
console.log(foo); // ReferenceError
let foo;
- 만약 초기화 단계가 실행되기이전에 변수에 접근하려고 하면 참조 에러
-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스코프의 시작 지점부터 초기화 단계 시작 지점까지 변수를 참조할 수 없음
- 스코프의 시작 지점부터 초기화 시작 지점까지 변수를 참조할 수 없는 구간을 일시적 사각지대 라고 부름
15.2.4 전역 객체와 let
- le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아님
= 즉, window.foo 와 같이 접근 불가능
let x = 1;
console.log(window.x); // undefined
console.log(x); // 1
15.3 const 키워드
- 상수를 선언하기 위해 사용
- 반드시 상수만을 위해 사용하지는 않음
15.3.1 선언과 초기화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 함
const foo = 1;
const foo; // SyntaxError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와 마찬가지로 블록 레벨 스코프를 가지며,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함
15.3.2 재할당 금지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금지됨
15.3.3 상수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에 원시 값을 할당한 경우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없음
- 변수는 언제든지 재할당을 통해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지만,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됨
- 상수는 상태 유지와 가독성, 유지보수의 편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함
15.3.4 const 키워드와 객체
-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객체를 할당한 경우 값을 변경할 수 있음
- const 키워드는 재할당을 금지할 뿐, '불변'을 의미하지는 않음
- 프로퍼티의 동적 생성, 삭제, 프로퍼티 값의 변경을 통해 객체 변경하는 것은 가능
- 이때 객체가 변경되더라도 변수에 할당된 참조 값은 변경되지 않음
15.4 var vs. let vs. const
- ES6를 사용한다면 var 키워드는 사용하지 않음
-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 한정해 let 키워드 사용
: 이때 변수의 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만듦
- 변경이 발생하지 않고 읽기 전용으로 사용하는 (재할당이 필요 없는 상수) 원시 값과 객체에는 const 키워드 사용
: const 키워드는 재할당을 금지하므로 var, let 키워드보다 안전함
! 변수를 선언할 때는 일단 const 키워드를 사용
! 반드시 재할당이 필요하다면 그때 const 키워드를 let 키워드로 변경
'2022-2 웹개발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던 JS] CH18 함수와 일급객체 (0) | 2022.10.04 |
---|---|
[모던 JS] CH16 프로퍼티 어트리뷰트, CH17 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0) | 2022.10.04 |
[모던 JS] CH23 실행컨텍스트, CH13 스코프 (0) | 2022.10.03 |
[코드] (0) | 2022.09.21 |
[모던 JS] CH12. 함수 (1) | 2022.09.20 |